영국 플리머스대학교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해조류가 혈압을 유의미하게 낮춘다는 과학적 근거가 확실히 밝혀졌습니다.

해조류 혈압 강하 효과, 과학적으로 입증되다
영국 플리머스대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에 발표한 연구는 그 규모와 신뢰성 면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성인 1,583명을 대상으로 한 29편의 무작위 대조시험(RCT)을 메타분석한 이 연구는 해조류의 혈압 강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대규모 연구입니다.
연구 결과의 핵심 수치
분석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해조류를 꾸준히 섭취한 그룹에서는:
- 수축기 혈압 평균 2.05mmHg 감소
- 이완기 혈압 평균 1.87mmHg 감소
이 수치가 작아 보일 수 있지만, 혈압 관리에서 2-3mmHg의 감소도 심혈관 질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의미 있는 변화입니다.
스피루리나, 해조류 중 최강의 혈압 강하 효과
해조류 중에서도 스피루리나가 가장 뛰어난 혈압 강하 효과를 보였습니다:
- 수축기 혈압: 5.28mmHg 감소
- 이완기 혈압: 3.56mmHg 감소
이는 일반적인 미역, 다시마보다 2배 이상 높은 효과입니다. 스피루리나는 건강식품 매장에서 분말이나 알약 형태로 쉽게 구입할 수 있어 접근성도 좋습니다.
하루 섭취량과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하루 3g 이상 섭취 시 혈압 감소 폭이 더욱 커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해조류의 혈압 강하 효과가 용량 의존적임을 시사합니다.
대사질환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해조류
특히 흥미로운 발견은 해조류의 혈압 강하 효과가 고혈압,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위험군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점입니다. 이들 그룹에서는 건강한 사람보다 3배 높은 혈압 개선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해조류가 단순히 건강한 사람의 혈압을 약간 낮추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로 혈압 관리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해조류 섭취 시 주의사항과 올바른 방법
섭취 기간에 따른 효과 차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 수축기 혈압: 비교적 단기간 섭취로도 개선 효과
- 이완기 혈압: 12주 이상 장기간 섭취 필요
따라서 해조류의 혈압 강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최소 3개월 이상 꾸준한 섭취가 중요합니다.
⚠️ 미역, 다시마 섭취 시 주의점
연구팀은 "미역, 다시마 같은 대형 해조류는 많이 섭취할 경우 요오드나 중금속 축적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적정 섭취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갑상선 질환이 있는 분들은 전문의와 상담 후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일상 속 해조류 섭취 늘리는 실용적 방법
한국인에게 친숙한 해조류 활용법
- 미역국: 주 2-3회 꾸준한 섭취
- 김: 매일 아침 식사에 포함
- 다시마 우린 물: 차 대신 마시기
- 해조류 샐러드: 식사 전 전채요리로 활용
- 스피루리나 분말: 스무디나 요거트에 첨가
맺음말: 자연이 주는 혈압 관리의 해답
이번 연구는 우리 조상들이 오랫동안 즐겨 먹어온 해조류가 단순한 음식이 아닌 천연 혈압 강하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습니다. 특히 고혈압이나 대사질환 위험이 있는 분들에게는 더욱 의미 있는 결과입니다.
하지만 해조류 섭취만으로 혈압 관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와 함께 해조류를 꾸준히 섭취한다면 자연스럽고 건강한 혈압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고혈압에 좋은 음식 VS 나쁜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