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140/90이 나왔는데, 이게 정말 고혈압인가요?" 최근 건강검진을 받으신 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혈압이 자연스럽게 높아진다는데, 과연 내 나이에 맞는 정상 혈압 수치는 얼마일까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나이대별 정상혈압 기준표를 완벽 분석해드립니다.

혈압이란? 심장 건강의 핵심 지표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고 이완하면서 혈관 벽에 가하는 압력을 말합니다. 보통 수축기 혈압(최고혈압)과 이완기 혈압(최저혈압) 두 가지 숫자로 표현되며, 120/80mmHg처럼 기록됩니다.
- 수축기 혈압: 심장이 수축할 때 혈관에 가해지는 최고 압력
- 이완기 혈압: 심장이 이완할 때 혈관에 가해지는 최저 압력
대한고혈압학회 2025년 혈압 분류 기준
현재 우리나라는 대한고혈압학회에서 발표한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에 따라 혈압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표준 혈압 분류표
혈압 분류 | 수축기 혈압 (mmHg) | 이완기 혈압 (mmHg) |
---|---|---|
정상 | 120 미만 | 그리고 80 미만 |
고혈압 전단계 | 120-139 | 또는 80-89 |
1단계 고혈압 | 140-159 | 또는 90-99 |
2단계 고혈압 | 160 이상 | 또는 100 이상 |
중요한 점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이라고 정의한다는 것입니다.
나이대별 정상혈압 평균 수치표
연령이 높아질수록 혈관의 탄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평균 혈압도 다소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혈압 기준은 연령과 무관하게 140/90mmHg 이상이라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남성 연령별 평균 혈압
연령대 | 수축기 혈압 평균 | 이완기 혈압 평균 | 정상범위 |
---|---|---|---|
20-29세 | 115-125 | 75-80 | 정상 |
30-39세 | 120-130 | 80-85 | 정상~고혈압전단계 |
40-49세 | 125-135 | 80-85 | 정상~고혈압전단계 |
50-59세 | 130-140 | 85-90 | 고혈압전단계 |
60-69세 | 135-145 | 85-90 | 고혈압전단계~1단계 |
70-79세 | 140-150 | 85-90 | 1단계 고혈압 |
80세 이상 | 145-155 | 85-90 | 1단계 고혈압 |
여성 연령별 평균 혈압
연령대 | 수축기 혈압 평균 | 이완기 혈압 평균 | 정상범위 |
---|---|---|---|
20-29세 | 110-120 | 70-75 | 정상 |
30-39세 | 115-125 | 75-80 | 정상 |
40-49세 | 120-130 | 75-80 | 정상~고혈압전단계 |
50-59세 | 125-140 | 80-85 | 정상~고혈압전단계 |
60-69세 | 130-145 | 80-85 | 고혈압전단계~1단계 |
70-79세 | 135-150 | 85-90 | 고혈압전단계~1단계 |
80세 이상 | 140-155 | 85-90 | 1단계 고혈압 |
남녀별 혈압 차이의 과학적 근거
20~40대까지는 남성의 혈압이 여성보다 약간 높지만, 50세 이후에는 여성의 혈압도 증가하여 비슷하거나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 변화는 폐경 이후 여성 호르몬 감소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연령대별 혈압 변화 특징
- 20-40대: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5-10mmHg 높음
- 50대 이후: 여성의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남성과 비슷한 수준
- 60대 이후: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혈압을 보이는 경우 증가
2025년 최신 고혈압 관리 동향
최근 5년간 젊은층 고혈압 환자 급증!
20대 고혈압 환자 수 27.9% 증가 | 30대 19.1% 증가 | 40대 14.6% 증가
고혈압 전단계의 중요성
고혈압 전단계(130∼139/80∼89mmHg)도 대뇌 소혈관 질환이나 심혈관질환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혈압 전단계에서 정상혈압으로 돌아가는 비율은 20% 안팎에 불과하므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연령별 혈압 관리 가이드
20-30대: 예방이 최고의 치료
- 목표: 120/80mmHg 미만 유지
- 관리법: 규칙적인 운동, 금연, 절주
- 검진 주기: 2년마다 혈압 측정
40-50대: 적극적 생활습관 개선
- 목표: 130/80mmHg 미만 권장
- 관리법: 염분 섭취 제한(하루 6g 이하), 체중 관리
- 검진 주기: 1년마다 혈압 측정
60대 이후: 개별 맞춤 관리
- 목표: 합병증이 없는 경우 140/90mmHg 미만, 심혈관질환이 있는 경우 130/80mmHg 미만
- 관리법: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 병행
- 검진 주기: 6개월마다 정기 점검
혈압 측정 시 주의사항
정확한 혈압 측정을 위한 팁
- 측정 전 준비: 5분간 안정을 취한 후 측정
- 자세: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팔을 심장 높이에 위치
- 시간: 아침과 저녁 같은 시간대에 측정
- 반복 측정: 2-3회 측정하여 평균값 사용
가정혈압 측정의 중요성
'백의고혈압'은 진료실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고 가정혈압이 135/85 mmHg 미만인 경우로, 전체 치료 환자의 13.5%에서 나타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혈압 측정이 필수적입니다.
생활습관으로 혈압 관리하기
효과적인 혈압 관리 방법
식이요법
- 염분 섭취량을 하루 6g 이하로 제한
- 칼륨이 풍부한 식품(바나나, 시금치) 섭취
- 포화지방 섭취 줄이기
운동요법
- 주 5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
- 적절한 근력 운동 병행
- 계단 오르기 등 일상 활동 늘리기
스트레스 관리
- 충분한 수면(7-8시간)
- 명상이나 요가 등 이완 요법
- 금연과 절주
마무리 - 나이에 맞는 혈압 관리의 중요성
혈압은 단순히 숫자가 아닌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수축기 혈압을 10mmHg 낮추면 심근경색증을 17%, 뇌졸중은 27%, 심부전은 28%, 전체 사망률은 13%까지 줄일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혈압이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혈압 진단 기준인 140/90mmHg는 연령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혈압 측정과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여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지금 당장 혈압계로 혈압을 측정하고, 위의 나이대별 기준표와 비교해보세요. 건강한 혈압 관리로 더 건강한 미래를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